소년

영화기법 <플래시백> 이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예술정보


안녕하세요~

오늘도 예술에 관한 이야기는

영화 용어인데요 <플래시백> 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눠볼까해요!



플래시백은 과거의 회상을 나타내는 

장면이나 그 기법을 말하는건데요

현재 시제로 진행되는 영화장면에서 

갑자기 추억이나 회상 등 


과거에 일어난 일들을 나타날 경우 이 장면을 

플래시백이라고 생각하시면 된답니다



주로 플래시백이 사용될때는 

현재 일어나고있는 일들에 대해서

이렇게 일어날 수밖에 없는 

인과를 설명하는 도구로 사용되거나

한 사람의 과거를 보여주면서 

그 인물의 성격이 그렇게 될 수밖에 없는

해명하는 도구로 사용되어지는데요



맨 처음에 플래시백이 사용된 건 

1930년도에서 1940년대 사이추리

 영화를 통해서 플래시백이 

가장 먼저 사용되고, 

흔히 사용되어져왔다고 해요


추리 영화에서는 범죄를 

저질른 인물들이 등장하는데요 


그때 그들이 이런 범죄를 저지를 수 

밖에 없는 동기를 설명하는 도구로 

쓰여지면서 흔히 플래시백 기법이 

사용되어져 왔다고 하더라고요 



그 후로는 오토 프레밍어의

 <로라> 라는 영화나 

빌리 와일더의 <이중 배상> 을 

통해서 누아르 영화에서도 

플래시백 기법이 폭넓게 활용되었다고 해요!



플래시백이 인상깊게 사용되어진 

사례도 있는데요


오손 웰스 감독의 <시민 케인> 

이라는 1941년도의 영화에서는

주인공의 일생을 묘사하는데 

다른 사람의 기억으로부터 

일생을 묘사했다고 해요 


그밖의 우리가 잘알고있는 잉마르 베리만의 

<산딸기> 를 통해서는

주인공이 여행중의 

자신의 자아를 발견하기위해서

꿈을 통해서 과거로 여행을 하는 

플래시백 기법을 인상깊게 

사용했다고 하네요



그렇다면 반대로 미래의 

일을 미리 보여주는 장면은

뭐라고 부를까요?


바로 <플래시포워드> 라고 한다고해요!


영화를 만들때도 다양한 기법이 있기때문에

더 효과적으로 사건과 

인물을 보여줄 수있는 것같아요


앞으로도 더 다양한 영화 기법들을

 준비해보겠습니다.

이런 용어나 방법을 알면 알수록 

영화 보는 재미가 

더 늘어가는 것같아요



영화용어 <디졸브> 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예술정보


안녕하세요 오늘의 예술이야기 역시 

영화관련 이야기인데요 오늘은 

오랜만에 영화를 만들때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눠볼까해요

그래서 준비한 용어는 <디졸브> 라는 용어인데요



디졸브같은 경우는 한 화면이 사라지면서

동시에 다른 화면이 점차 나타나는 장면 전화 기법이라고 

생각하시면 된답니다!



처음 보여지는 화면의 밀도가 점점 감소하는 동시에

다른 화면의 밀도가 높아져서 

자연스럽게 장면이 전환되는 것을 

말하는데요!


비슷한 뜻으로 우리가 

잘 알고있는 <오버랩> 이 있는데요

즉 디졸브는 장면전환 기법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거같아요 



하지만 오버랩같은 경우는 

화면이 없어짐과 동시에 

다음 화면이 나타나는 것처럼 합성을 

한다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그리고 2개의 화면이 

한번씩 고정될떄가 있어요



그런데 디졸브같은경우는 

기본적으로 페이드인이나 페이드 아웃을 

기초로해서 최종적으로 

한개의 화면으로 종료되는 것을 

말하기때문에 오버랩이랑은 살짝 다르답니다



더 쉽게 이야기를 해드리자면 

디졸브는 융합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거같아요


그래서 두 화면이 하나로 합성된다는 뜻을 

가졌다고 생각하시면

될 거같네요



이렇게 영화용어를 알고나니깐

어떤 영화장면에서 디졸브 기법을 사용했는지

이제 확실히 눈에 들어오시죠?


요즘에 디졸브 기법은 

영화말고도 드라마에서도

많이 사용되더라고요!

앞으로도 어떤 장면을 보다가 

두 화면이 하나로 합성될때는

디졸브 기법을 사용했구나 하시면 될 거같아요